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라면, 빵 등 식품 가격 인상. 2025년 생활비 얼마나 들까? 물가 상승 외식 부담

by 부자들모여라 2025. 3. 10.

대형마트에 진열된 라면
대형마트에 진열된 라면

최근 라면, 빵 등 식품 가격이 인상되면서 생활비 부담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주거비, 식비, 교통비, 문화생활비 등의 지출이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월급 상승 속도가 물가 상승을 따라가지 못하면 경제적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식품 가격 인상으로 인한 생활비 전망을 살펴보고, 주요 생활비 항목별 변화를 예측하며, 효과적인 지출 관리 전략을 고민해 보겠습니다.

◆주거비 상승, 월세 부담 어떻게 될까?

살아가면서 가장 큰 지출 항목 중 하나는 주거비입니다. 특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월세와 전세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어 2025년에도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수도권 전세 가격은 2024년 하반기부터 안정세를 보였지만, 2025년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면서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세 사기로 인한 전세 기피현상으로 월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보증금과 월 임대료가 모두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지방의 경우 인구 감소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이 안정될 수도 있지만, 인기 지역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일 청년·신혼부부에 해당된다면 대상 공공임대주택을 적극 활용하면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공유주택을 찾는 2030 세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공유주택이나 코리빙(Co-Living)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너무 상승세를 지켜가고 있는 지역보다는 주거지역을 외곽으로 옮기더라도 본인의 자금사정과 계획에 따라 주거지를 변경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식비·외식비 상승, 한 끼 비용 부담스러워

원자재 가격 상승과 인건비 증가로 인해 음식 가격이 오르고 있으며, 특히 외식비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2024년 기준 1인 가구 월평균 식비는 약 40만 원이었으나, 2025년에는 10~15%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식비는 한 끼 평균 10,000~12,000원 수준으로 가정하면 2025년에는 13,000원 이상으로 오른다는 것인데, 이는 가족 구성원의 형태에 따라 부담률은 더 커질 것입니다. 배달비 인상과 음식 가격 상승으로 인해 배달음식 소비가 줄고 배달보다는 직접 방문을 해서 포장 할인 혜택을 받는 방법으로 배달비를 아끼고 있습니다. 또 최근에는 대량으로 저렴하게 구매한 후 미리 요리를 준비해두는 밀프렙(MEAL PREP)을 활용하는 가정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재료와 소스까지 포함되어 간단하게 끓여서 먹기만 하는 밀키트들이 많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요리에 대한 부담감을 덜 수 있습니다. 이렇듯 외식비 상승으로 소비자의 심리가 외식 대신에 건강한 홈쿡 (Home Cook) 트렌드로, 집에서 직접 요리를 해먹는 방향으로 기울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 변화들은 자영업자들에게는 악영향을 끼칠 수 있지만 많은 식품 기업들이 다양한 메뉴로 소비자의 입맛을 만족시키고 있기에 가정마다의 외식 횟수가 줄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식당에서 주문한 음식
식당에서 주문한 음식

◆교통비 및 문화생활비 변화

출퇴근, 여행, 문화생활을 즐기는 소비 패턴을 가지고 있다면 교통비와 여가비 부담도 주요한 문제입니다.

대중교통 요금이 2024년에 인상되었으며, 언제라도 추가 인상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차로 출퇴근을 한다면 

자동차 유지비(주유비, 보험료 등)도 유가 상승에 따라 증가할 수 있습니다.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충전 비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질 전망이고, 자동차 유지비를 고려한다면 전기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입니다.

보통 직장인들의 패턴으로 가정하면 일주일 중 5일 일하고 지친 심신을 2일의 휴일로 달랠 것입니다. 이때 보내게 되는 휴일에 문화생활과 때로는 여행을 다니며 보낼 수 있을 텐데, 영화관, 공연 티켓 가격이 지속적으로 인상되고 있으니 문화생활비로 사용되는 소비 또한 망설여질 것입니다. 또한 넷플릭스, 쿠팡플레이 등 여러 OTT(Over The Top)를 구독하고 있는데 이러한 서비스 요금도 인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전략으로는

대중교통 정기권 활용하여 출퇴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유지비가 부담된다면 단기 렌트나 카셰어링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구독 서비스 점검해보고 사용하지 않는 스트리밍 서비스는 해지하고, 가족 결합 상품을 이용하면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와같이 본인의 상황에 맞게 정보를 알아보고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교통카드 사진
교통카드 사진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될까?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지속되면서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고 물가 상승으로 인해 서민들의 생활비 부담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큽니다. 글로벌 원자재 가격, 환율 변동, 공급망 문제,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 등 다양한 요인이 소비자 물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주거비, 식비, 교통비, 문화생활비 등 다양한 항목에서 가격 인상이 예상되며, 월급 상승 속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할 경우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미리 알고 준비한다면 한결 똑똑한 소비를 만들 수 있을 것이고 안정적인 경제 생활을 유지하는 핵심이 될 것입니다.